댄스-움직임 치료가 노년층의 코르티솔 각성 반응에 미치는 영향

2025. 7. 7. 13:00카테고리 없음

1. 서론

본 연구는 코흐(Koch) 외 연구진이 2019년 '프론티어스 인 사이콜로지(Frontiers in Psychology)'에 발표한 "DANCE-MOVEMENT THERAPY LEADS TO A LOWER CORTISOL AWAKENING RESPONSE—A SIGN OF STRESS REDUCTION?" 논문의 주요 내용을 요약합니다. 이 연구는 건강한 노년층을 대상으로 댄스-움직임 치료(Dance-Movement Therapy, DMT)가 스트레스 지표인 코르티솔 각성 반응(Cortisol Awakening Response, CAR)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여, 댄스-움직임 치료가 노년층의 스트레스 감소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2. 연구 배경 및 목적

코르티솔 각성 반응(CAR)은 아침 기상 직후 코르티솔 수치가 급격히 상승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일상적인 스트레스 수준 및 스트레스에 대한 신체 반응을 반영하는 중요한 생리적 지표로 알려져 있습니다. 만성적인 스트레스는 높은 CAR 수치와 관련될 수 있으며, 이는 전반적인 건강과 웰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건강한 노년층에게 댄스-움직임 치료를 적용했을 때, 타액 코르티솔 수치, 특히 CAR에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는지 확인하는 것이었습니다. 이는 댄스-움직임 치료가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적인 비약물적 개입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생리학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했습니다.

3. 연구 방법

이 연구는 건강한 노년층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참가자들은 다음과 같은 세 그룹으로 나뉘어 일정 기간 동안 개입을 받았습니다.

  • 댄스-움직임 치료(DMT) 그룹: 댄스-움직임 치료 세션에 참여했습니다.
  • 유산소 운동 그룹: 일반적인 유산소 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했습니다.
  • 대조군: 별도의 개입 없이 일상생활을 유지했습니다.

개입 전후로 참가자들의 타액 샘플을 채취하여 코르티솔 수치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코르티솔 각성 반응의 변화를 분석했습니다.

4. 연구 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중요한 점을 시사합니다.

  • 코르티솔 각성 반응의 유의미한 감소: 댄스-움직임 치료 그룹에서 훈련 후 타액 코르티솔 수치가 유의미하게 낮아졌으며, 특히 코르티솔 각성 반응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이는 대조군이나 유산소 운동 그룹에서는 관찰되지 않거나 그 정도가 미미했습니다.
  • 스트레스 감소의 생리적 신호: 논문에서는 코르티솔 각성 반응의 이러한 감소를 스트레스 수준이 낮아졌음을 나타내는 생리적 지표로 해석했습니다. 이는 댄스-움직임 치료가 스트레스 조절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 신체적 운동 능력과의 독립성: 연구는 댄스-움직임 치료 그룹에서 나타난 코르티솔 변화가 참가자들의 순수한 신체적 운동 능력(예: 체력 증진) 향상과는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없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댄스-움직임 치료가 신체 활동 외에 음악, 창의적인 움직임, 자기표현, 그룹 상호작용 등의 독특한 요소를 통해 스트레스 감소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5. 결론 및 시사점

코흐 외(2019) 연구는 댄스-움직임 치료가 건강한 노년층의 코르티솔 각성 반응을 낮추는 데 효과적이며, 이는 스트레스 감소의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 연구는 댄스-움직임 치료가 노년층의 심리적 및 생리적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비약물적 개입으로서 중요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을 뒷받침하는 근거를 제공합니다.

댄스-움직임 치료가 단순한 신체 활동을 넘어선 다차원적인 개입으로서 노년층의 스트레스 감소와 전반적인 정신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임상 및 지역사회 기반 프로그램에서 그 활용도를 더욱 높일 필요가 있습니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효과의 장기적인 지속성과 다양한 노년층 집단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추가로 탐색할 필요가 있습니다.